본문 바로가기

회고록(TIL&WIL)

TIL & WIL 2022.04.29 인스타그램 클론코딩 - 2

오늘은 어제 이어 클론코딩을 진행했다.

어제처럼 두개를 같이 병행하다가 유튜브 영상들을 보니 그 클론코딩하는 개발자도 직접 인터넷에 검색해보면서 하는 것을 보고 '아 저렇게 검색을 하는 것도 공부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어서 그 뒤부턴 아예 유튜브나 다른 레퍼런스는 다끄고 직접 어떤 것을 구현할지 생각하고 어떤 태그를 써야 만들 수 있을지는 검색을 통해서 정보를 얻고 직접 하나씩 입력해보면서 작업을 하니 확실히 자주 쓰는 태그라던가 이렇게 검색하니 나오네 같은 느낌으로 많은 것을 공부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앞서 했던 pygame에 비해서는 html이기때문에 쉽게쉽게 여러 태그 입력해볼 수 도 있었고 모양도 재깍재깍 나와서 확실히 프론트엔드에 대해서 착실하게 익혀나가는 느낌이다. 오늘은 일단 필수구현 사항은 모두 구현을 거의 완료했고 추가구현 사항은 할 수 있다면 조금씩 해봐야겠다. 중간중간 git에 commit도 해보았으며 뭐 혼자서 git에 commit하고 push할땐 딱히 충돌나거나 할 일 이없으니 그냥 중간저장느낌으로 편하게 하게 되는 것 같다.

 

이번주에는 확실히 집중력있게 공부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목요일 오후 부터 ~ 금요일까지 넘어오니 급격하게 집중력이 떨어져 자주 쉬기도하고 그랬지만 그만큼 열심히 했으니 힘이 드는 거라고 생각한다. pygame으로 게임만들기 부터 인스타그램 클론 코딩까지 난이도야 둘째치고 이것저것 코드쳐보고 수정도하고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다른 것 보다도 코드에 좀더 익숙해지고 모르는 것을 찾는 검색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낀다. 다양한 자료가 있는 만큼 스스로 적용도 해봐야되고 이해도 해야하고 적절하게 필요한 자료인지 구분도 해야한다.

 

사실 실제 코드를 입력하는 시간보다 필요한 자료를 찾거나 읽어보거나 한 뒤에 테스트 해보는 시간이 훨씬 더 많이 든것 같다. 찾아본 레퍼런스와 내 프로젝트가 시작부터 달라서 참고해보려고 얼추 비슷하게 클래스 정리하고 메서드 정리 해보려하다가 날려버린 시간들도 많이 있었다. 앞으로도 뭔가 모듈같은 걸 사용할 때 전체적인 큰그림을 그려서 그거에 맞게 적절한 코드들을 작성할 수 있었으면 좋았을텐데 그러면 보다 보기쉽기도하고 파일에 알맞게 코드들도 정리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이든다. 

 

금요일쯤되니 확실히 피로가 많이 누적되었다는 느낌이 든다. 오늘 얼른 마무리하고 주말에는 푹 쉬면서 회복을 해야겠다. 이번주까지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다음주부터는 다시 팀프로젝트를 시작할텐데 그때를 위해서라도 주말에는 최대한 푹 쉬어야겠다. 

 

cloneInstargram git 주소

https://github.com/Aeius/cloneInstargram.git

 

GitHub - Aeius/cloneInstargram: 인스타그램 클론코딩

인스타그램 클론코딩. Contribute to Aeius/cloneInstargram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